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건담 등급표 –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cs.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cs.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TV박서방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548회 및 좋아요 22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건담 등급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 건담 등급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건프라등급 #등급분석 #건담스케일
안녕하세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취미공간 박서방입니다.
오늘은 건프라를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바로바로 건프라 등급 안내!
SD부터 PG까지 건프라 등급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박서방 대전본점]■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616 오렌지클리닉 3층
■ 전화번호 : 042-537-0083
■ 영업시간 : 월, 수~일 AM 10:30 ~ PM 19:00 / 화요일 정기 휴무
■ 블로그 : http://blog.naver.com/psb0083
■ 트위터 : https://twitter.com/park_seobang
■ 온라인사이트 : http://parkseobang.com
■ 네이버쇼핑 : http://smartstore.naver.com/psbgundam
건담 등급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건담 프라모델 등급 정리! / HG,RG,RE/100,MG,PG 뜻, 의미!
HG는 High grade/하이 그레이드의 약자로 크기는 144분의 1 즉 1/144 스케일입니다. 건담 프라모델 중 가장 작은 등급으로 실제 건담 크기를 144등분 한것 …
Source: gunso5.tistory.com
Date Published: 9/28/2021
View: 5334
[건프라 용어 사전] 건담 프라모델 등급 총정리 – 마루토스
[건프라 용어 사전] 건담 프라모델 등급 총정리 · – HG : 하이그레이드. · – MG : 마스터그레이드. · – PG : 퍼펙트그레이드. · – RG : 리얼그레이드. · – RE/ …Source: ran-innori.tistory.com
Date Published: 10/8/2022
View: 888
건프라 – 나무위키:대문
최초의 등급 건프라인 HG 1/144 건담(1990년 3월 출시)이 주머니 속의 전쟁 OVA 발매 후에 출시되었기 때문. 참고로 HG 건담 발매 후에 발매된 최초의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9/2021
View: 6761
건담 등급표 입니다 – 다음블로그
건담 등급표 입니다 · 스티브가 제일 좋아하는 스케일 이죠 사이즈 가 아담 하면서 도 디테일 이 베리 베리 귿 ^^ 아직은 많은 킷 들이 나오지 않아 아쉽지만 명품 중의 …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2/24/2021
View: 4190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등급표 공략 리뷰 건담 매니아 필독
건담 슈프림 등급표에서는 윙 건담제로, 건담 알바, 아스트로 골드 프레임, 사이코 자쿠가 1티어 입니다. 여기서 하나만 나와도 시작하시면 됩니다. 윙 …
Source: hwaloong2.tistory.com
Date Published: 8/1/2021
View: 2229
건담 등급 사이즈별로 구분해요 – 삼라만상 그 모든 것
일단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건담 등급은 건담 사이즈로 구분되는데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HG, MG, RG, PG 외 별도완제품 등 다양하게 나누어집니다. 오늘은 …
Source: toranekoworld.tistory.com
Date Published: 2/30/2022
View: 728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나 등급표보다 피지컬이다! 쿠폰 없음
안녕하세요. 겜돌이 러스L 입니다.. 건담 애니메이션 속 기체와 파일럿을 획득하여 전장을 누빌 수 있는 모바일 게임! 건담 슈프림 배틀에 대하여 …
Source: lsoljk.tistory.com
Date Published: 3/28/2022
View: 965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건담 등급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건담 등급표
- Author: TV박서방
- Views: 조회수 22,548회
- Likes: 좋아요 228개
- Date Published: 2021. 4.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edqW8fBNVo
건담 프라모델 등급 정리! / HG,RG,RE/100,MG,PG 뜻, 의미!
728×90
건담 프라모델을 하시는분들에게는 기본적인 것들이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굉장히 헷갈린 부분이 바로 이 등급아닐까 합니다. 전부 비슷하게 생긴 건프라들 앞에 HG, MG, RG, PG 등 비슷한 영어가 붙어있고 1/144, 1/100 등의 알수없는 숫자들도 붙어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담 프라모델을 구입하기전에 꼭 알아야하는 이 등급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혹시 잘못 구매했다가 당황하는일 없도록 미리 알고 구매해주세요~!
1. HG (High grade) 크기 1/144
가장먼저 HG 등급의 프라모델입니다. HG는 High grade/하이 그레이드의 약자로 크기는 144분의 1 즉 1/144 스케일입니다. 건담 프라모델 중 가장 작은 등급으로 실제 건담 크기를 144등분 한것중 1의 크기라는 뜻입니다. 즉 예를들어 설정상 20미터 크기의 건담이라고 한다면 HG 프라모델의 크기는 약 13.8 센치미터라는 의미죠.
이 HG 등급에서는 외형의 분할이 비교적 간단하게되어있습니다. 건담을 사람이라고 보았을 때 뼈의 역할을하는 프레임이 거의 없는 등급으로 기본적인 관절과 외형만 구현이되어있습니다. 또한 각각 파츠들의 색분할또한 적다고 할 수있죠. 때문에 적은 부품수로 빠르게 조립이 가능하고 건담프라모델 중 가장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약 8천원~ )
최근에 발매하고있는 HG등급의 건프라들은 상당히 높은 퀄리티와 분할을 보여주는데 그만큼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있어요. 위의 사진 모델은 HG 철혈의 오펀스의 비다르.
참고로 HG뒤에 붙는 HG00, HGIBO, HGUC, HGTB 등은 전부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약자입니다. HG00는 더블오, HGIBO는 iron blood orphans 철혈의 오펀스, HGUC는 Universal century 우주세기 등 각각 애니메이션 혹은 그 애니메이션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여 발매한 프라모델들입니다.
2. RG (Real grade) 크기 1/144
RG는 real grade의 약자로 HG와 동일한 1/144의 스케일입니다. MG등급과 같이 외장의 디테일, 색분할 등이 훌륭하고 뼈의 역할을 하는 프레임이 전부 구현되어있습니다. 때문에 팔이나 다리를 움직일때 실린더가 움직인다던가 하는 메카니컬한 연동기믹들이 존재합니다.
작은 스케일에 비교적 저렴한가격으로 MG에서 느낄 수 있는 기계적인 디테일들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일본현지에서도 인기가있고 최근 반다이에서도 많이 밀어주고 있는 라인업입니다.
가격은 약 2만원 이상. 위 사진의 기체는 RG 풀버니언.
3. RE/100 (REBORN – ONE HUNDRED) 크기 1/100
RE/100 리본 100라는 이름을 가진 라인업으로 HG,RG보다 큰 100분의 1 스케일입니다. 실제 건담의 크기가 20m라고 할때 이 등급에서의 크기는 20cm.
크기는 크지만 HG와 비슷한 디테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레임, 기계적인 연동기믹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절부분과 외장만 존재하는 보여주기식 프라모델이죠. 그래도 HG보다 큰 크기이기때문에 색분할은 조금 더 잘되어있는 편입니다.
주로 인기없는 시리즈의 기체, MG로 판매하기에는 큰 수익을 못 낼것 같거나 다른 바리에이션으로 활용할 수 없는 기체들을 내놓는 편입니다. 이 RE/100 덕분에 기대도 못하던 녀석들이 모형화되니 참 반가운 라인업입니다.
가격대는 약 3만원~. 위의 프라모델은 햄머 햄머.
4. MG (Master grade) 크기 1/100
MG, 마스터 그레이드의 약자입니다. RE/100과 동일한 1/100 스케일입니다.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라인업입니다. 외장의 분할이면 분할, 색이면 색, 프레임이면 프레임, 기믹이면 기믹 어느하나 빼놓을 것 없이 모두 갖추고있는 등급이죠.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라인업입니다.
특징 중 하나로는 콕핏 해치의 오픈 기믹과 콕핏 내부에 1/100 스케일의 파일럿이 탑승해있습니다. 즉 건담을 조종하는 조종사가 탑승하고 있는걸 프라모델에서 구현해놓았습니다. 기타 해치 오픈기믹은 물론, 전신 프레임, 연동기믹도 존재합니다. 일부 모델에선 LED 유닛을 이용해 눈에서 발광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단, 2000년대에 발매했던 예전 MG등급에서는 상체나 팔 등에서 프레임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주로 다리의 프레임만 기가막히게 존재하죠. 2010년대 등장했던 2.0 퍼스트건담, 자쿠, 시드 시리즈 등의 프레임이 역대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있을 정도로 디테일합니다. 최근 발매하고 있는 MG등급은 전신 프레임은 있지만 디테일이 2.0 시리즈에비해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있습니다.
가격대는 구판 건담킷, 볼 등을 포함해서 약 2만원~ 비싸게는 10만원 이상의 킷들도 존재합니다. 위의 킷은 MG중에서도 탑이라고 할수 있는 MG 사자비 ver.ka
여기서 ver.ka / 버카는 버전 카토키의 약자로 메카닉 디자이너 카토키 하지메가 리파인한 프라모델을 뜻합니다. 버카의 특징으로는 디테일한 분할과 엄청난 양의 습식데칼이 있습니다.
5. PG (Perfect grade) 크기 1/60
PG, 퍼펙트 그레이드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도 알수있는 완벽한 등급이죠. 1/60 스케일로 60분의 1이죠. MG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있습니다. 프라모델에서 구현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기믹을 구현해놓은 등급으로 이전 등급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부분까지 디테일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부분에서 해치오픈기믹은 물론 MG와는 비교를 할 수 없는 기계적인 몰드들과 디테일, 연동기믹이 존재합니다. 유니콘 건담, 엑시아 등에서는 LED와 전선을 통해 전신에서 발광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나오는 발광효과를 거의 대부분 재현해냅니다.
이런 엄청난 디테일과 크기, 프로포션 덕분에 가격대는 가장 비싼편으로 약 10만원 이상. 위의 모델은 PG RX-78-2 퍼스트건담.
6. SD 건담
SD건담. 가분수의 비율로 기존에 발매했던 건담들 귀엽게(?) 발매한 버전입니다. 크기는 약 6cm 이하. 가격대는 약 1만원대.
BB전사, 삼국전 등의 시리즈로 발매하고 있습니다. 위의 프라모델은 아스트레이 레드프레임의 SD버전.
7. 그외 무등급, 메가사이즈
그외에 무등급 스케일로는 1/100 크기와 메가사이즈 1/48 크기가 존재합니다.
1/100 무등급은 철혈의 오펀스 시리즈에만 존재하는 등급으로 전신 프레임은 존재합니다만 프레임의 형태만 재현해 놓은 것으로 거의 모든 철혈의 오펀스 기체들이 이 프레임을 공유합니다. 덕분에 가격대는 저렴한편.
메가사이즈 등급은 1/48 크기로 건프라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크기만 클 뿐 프레임등은 거의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크기가 큰 HG라고 생각하는 편이 맞을 듯 하네요. PG보다 큰 크기이지만 모든면에서 PG를 따라올수도 비교할수도 없는 등급입니다.
6. 마무리.
가장 많은 프라모델이 있는 등급은 HG입니다. 반다이에서도 금방금방 만들어 찍어낼 수 있고 투자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셀수 없이 많은 기체들이 발매했죠. 일단 어린아이들도 빠른시간에 쉽게 만들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팔리는 등급이기도 합니다.
갯수가 가장 적은 등급은 역시 PG가 아닐까 합니다.(메가사이즈 제외) 개발에도 시간이 오래걸리고 높은 가격대, 조립의 난이도 때문에 접근하기 힘든 등급이기도 하죠. 하지만 그만큼 값을하는 등급.
저는 기계적인 프레임과 큰 크기를 좋아해서 MG위주로 만들고 있어요. 그외에 MG에서 한정판으로 발매했다던가 발매한적이 없는데 갖고싶은 기체들은 HG로 구매하는 편입니다. 조립시간이냐 프레임의 디테일이냐 등등 본인의 취향대로 구매 라인업을 설정하시는게 가장 좋을 듯해요!
아래는 등급별 건담 프라모델의 크기비교 입니다.
300×250
[건프라 용어 사전] 건담 프라모델 등급 총정리
728×90
PG 등급 1/60 스케일 유니콘 건담과 RG등급 1/144스케일 마크2, 엑시아의 크기비교
1. 스케일
– 논스케일 : 딱히 비례 없이 만들어 파는 모델. 점점 드물어지는 추세.
– 1/x : 스케일. 설정상 크기에 비례했다지만 아주아주 정확하냐면 그런건 아님.
건프라 스케일의 가장 대세는 1/144, 1/100, 1/60 3가지.
2. 등급
구판 퍼펙트건담(feat : 달롱넷)
– 구판 : 엄밀히는 1980년 이전 출시된 등급없던 시절의 제품을 아울러 일컫는 말.
요즘엔 2.0에 해당하는 리파인 제품 나오면 그 한세대 전을 구판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엄격하게 말하면 좀 다름.
이때까지만 해도 사실 건프라는 특출난게 없었음…
– 무등급 : 말 그대로 별도 등급 표시 없는 모든 제품.
일반적으로 품질이 조악한것이 많으며 애니 방영시즌에 맞춰 빨리 내놓는 경우가 많았음.
심지어 프라모델이면서 가동안되는 제품들도 다수 포함. 크기도 1/500이 있는가하면 1/60 대형킷까지 다양.
최근 철혈시리즈가 전개되며 무등급의 퀄리티 자체는 매우매우 급상승되어있는 상태.
– FG : 퍼스트 그레이드. 구 입문자용 킷등급. 제품 몇 없음.
– AG : 어드벤스드 그레이드. 기록적으로 망한 건담 에이지 게임 배틀 칩 내장 등급. 전혀 몰라도 상관없음.
40주년 기념 엔트리 그레이드 퍼스트 건담. 1/144. 그냥 미쳤음.
– EG : 엔트리 그레이드. 입문자용등급 이라곤 하는데 제품 몇 없음.
최근 40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엔트리 그레이드 건담이 7천원 즈음의 저렴한 가격에 놀라운 퀄리티로 나와 반다이 외계인 고문설을 다시금 증명중.
이 가격에 이퀄리티는 지구상 그 어떤 다른 프라모델 제작사도 흉내내기 어려운 놀라운 수준임…
어른 아이 할거없이 건프라 처음 입문한다 하면 이 제품을 추천함.
가진사람 거의 없다는 스피드그레이드 제타. 1/200스케일. feat 달롱넷
– SG : 스피드그레이드. 빠른조립이 가능하다며 내놓았다 망한 등급. 몰라도 됨.
HGBF 1/144 빌드스트라이크 건담
– HG : 하이그레이드. 거의 대부분 1/144사이즈를 기준으로 하는 반다이 건프라의 대표상품. 엄청난 수의 라인업이 존재. 이하 부가설명.
HG : 1990년 건담, 마크투, 제타, 더블제타로 내놓은 최초의 HG
HGVG : V(빅토리)건담의 초기 HG라인업.
HG08 : 08소대 라인업.
HGG : 기동무투전 G건담 HG라인업
HGW : 윙Wing건담 HG라인업
HGX : 기동신세기 X건담 라인업. 여기까진 1/144와 1/100이 대충 혼재되어있었음
HGEW : 윙건담 엔드레스 왈츠 주역 5기 라인업. 1/100
HGFA : 윙건담 엔드레스 왈츠 기타 라인업. 1/144사이즈에 FA는 파이팅 액션의 약자로 가동성중시였음.
HGGU : 윙건담 듀얼스터리 G유닛 라인업. 진짜 비인기라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도 많음.
HG∀ : 은 존재안함. (….) 요 즈음에 방영된 턴에이 HG 라인업이 이맘때 나왔어야 했는데 인기가 없어서 HG화조차 못되고 무등급으로 끝나서…ㅋㅋ
HGGS : 전설의 레전드 G세이비어 라인업. 1개뿐.(……)
——————————
대충 여기까지가 구 HG라인업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1990~1999)
이후 1999년 여름부터 HG는 그 라인업을 재정비해 무등급과 차별을 두며 본격적으로 1/144 사이즈를 기본 사이즈로 하여 라인업을 재정비.
즉 보통 말하는 HG라 하면 위에 말한 20세기 제품이 아니라 대부분 이 아래 적는 21세기 제품 라인업을 뜻하니 착오 없으시길.
HGUC : UC는 우주세기Universal Century 의 약자. 당연히 우주세기 라인업. 원년도 건담. Z건담, ZZ건담, 뉴건담(벨도치카 칠드런), 0080, 0083, 08소대, 센티넬, 이글루, AOZ, 하모니 오브 건담, 블루 테스티니, 유니콘, F91, 크로스본, V, 섬광의 하사웨이, NT, 트와이라이트 엑시스, 그 외 기타 MSV(UC)등등이 다 여기.
HGFC : FC는 놀랍게도 Fighting Century가 아닌 (….) Future Century의 약자. 기동무투전 G건담 라인업.
HGAC : AC는 After Colony. 즉 Wing 건담 라인업.
HGAW : X건담 라인업. AW는 After War의 약자.
HGCE : Cosmic Era의 약자. 즉 건담 시드와 시드 데스티니, 아스트레이방면.
HGCC : Correct Century의 약자. 뭔소린고 하면 저 위에서 언급했던 HG조차 못나왔던 ∀턴에이 시대를 말함.
HGGPB : 건프라 빌더스 비기닝Gunpla Builders Begining 의 약자. 빌드파이터즈의 전신이 된 비기닝 의 초기 라인업.
HGBF : Build Fighters의 약자. 건담 빌드 파이터즈,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아일랜드워즈, 배틀로그, 기타 파생작
HGBD/HGBD:R : Build Divers의 약자.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 및 그 파생작 시리즈
HGBC : Build Custom의 약자. 위 두 HG등급과 호환되는 HG용 옵션 파츠 세트 라인업.
HGRC : Regild Century의 약자. G의 레콘기스타 라인업.
HGAGE : 약자라기보다 걍 AGE라인업.
HGSEED : 약자 아니고 말 그대로 시드라인업. 위 HGCE보다 먼저 나옴. 퀄은 HGCE쪽이 나은 경우가 많지만 라인업은 이쪽이 훨씬많음.
HGOO : 더블오라인업.
HG스타터팩 : 건담/자쿠만 있는 입문용 세트.
HGUCHG :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 Hard Graph의 약자. 1년전쟁시기 탱크, 전투기, 기타 비MS형 전투병기와 피규어로 쉽고 간단한 디오라마 입문용 라인업.
HGIBO : Iron Blooded Orphans, 즉 철혈의 오펀즈 라인업. 여기에 다시 IBA를 부속 라인업으로 지님.
HGIBA : Iron Blooded ARMS , 위에서 말한 철혈 무기 및 모빌워커, 기타 옵션 라인업
HG Thunderbolt : 기동전서 건담 Thunderbolt 썬더볼트 라인업. HGUC의 패러랠월드기때문에 이쪽에 따로 존재.
HG GTO : Gundam The Origin의 약자. OVA 및 극장용 오리진 관련 라인업.
HGPG : 건담빌드파이터즈 파생 뿌칫가이 전담 라인업. 유아들의 인기는 절대적.
HGG40 : 가장 최근 발매된 40주년 기념 라인업. 상상초월 가동성으로 새지평을 열었다는..
여기까지가 HG에 대한 간략한 요약설명. (미친;;;)
라인업이 이정도인데 상품수는 그야말로 상상초월. HG의 개별가격은 평균해서 1만원대에서 5만원대사이이며 가끔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도 있긴한데 예외적인 경우라 보시면 됨. 대부분 스티커로 부족한 색분할을 때움. 습식데칼같은건 일부 한정등 예외적인 경우만 존재.
이 외 비 건프라 일부도 HG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긴 하는데 (ex : 인피니즘 마징가등) 건담 아니니 여기선 제외.
더 자세한 설명은 너무 길어지니 생략합니다.
– MG : 마스터그레이드.
1/100 스케일 MG 제타건담 2.0과 ZZ건담 ver.KA
대략 1995년 시작된, 1/100 이라는 적당히 큰 사이즈를 기반으로 원작충실재현에 온갖 기믹과 신기술을 내세운 등급.
여기서부터는 세상 천지 그 어떤 회사도 따라오지 못할 독특한 손맛이 보장되며 대부분 내장프레임과 외장장갑 2단으로 구성되는데 일부미친MG의 경우 내장프레임-외장소체-외장프레임-추가장갑등 3중 4중 구조를 가지고 있기도 함.
앗가이같은 경우 내장프레임이 다중이라는 충격적 퀄리티로 뭇 사람들을 경악시킨적도 있음. 이후 25년이 넘는 세월동안 200여개가 넘는 정식라인업과 그보다 더 많은(……) 한정라인업을 보유한 명실상부 어른들의 건프라 메인스트림에 해당됨.
주 가격은 3만원대에서 10만원대 사이. 물론 예외는 있지만. 대부분 스티커, 가끔 건식데칼, 요즘엔 습식데칼이 많음.
MG라인업중 뒤에 ver.KA라고 붙으면 카토키 하지메라는 디자이너가 적극적으로 개발에 참여한 특별제품이라는 의미이며 보통의 MG보다 뭔가 약간 더 대단하거나 특색이 있는 경우가 많음. MG의 최고 베스트셀러라 하는 뉴건담, 사자비등이 바로 이 버카에 해당.
제품 뒤에 RM, 2.0 3.0 이런게 붙으면 버전업이라기보다 아예 새로 디자인해서 만든 킷으로 엄청난 인기제품을 시대의 흐름에 맞춰 재해석해서 만들때 붙임.
이 블로그 주인장의 주력 라인업이기도 함. 사실 적당히 크기때문에 만드는 편의성도 타등급보다 나은 편.
국내정가 27만원이라는 미친가격을 자랑하는 1/100 MGEX 전신발광기믹을 지닌 유니콘 건담
– MGEX : 뭔가 하나 특장점을 MG에 부여해서 내놓겠다는 신규라인업. 현재로선 위 사진의 유니콘 하나뿐임. 지나치게 비싼 가격으로 빈축을 듣긴 하는데…
– PG : 퍼펙트그레이드.
1/60 perfect grade 등급 건담 엑시아. 전신발광기믹을 지님.
1/60이라는 엄청난 크기를 바탕으로 프라모델 기술의 극한을 보여주는 최고급라인업.
반다이 기술력의 상징이자 어지간한 건프라 빌더들의 꿈 그 자체.
그 특수성으로 인해 개별가격이 10만~30만 전후 거뜬히 넘어가며 바리이에션 제외하면 상품수도 많지 않음.
아주 특수한 경우 제외하곤 대부분 스티커임.
– PG 언리시드 : 수십년만에 PG 퍼건을 새롭게 리뉴얼하며 새로이 발표된 등급. 초심자에 대한 배려가 돋보임.
– RG : 리얼그레이드.
1/144 사이즈 RG GP-01Fb 시작 1호기. 저~~위 구판 1/144랑 비교해보면 기술의 발전이 실감남;;
1/144 무등급 혹은 HG급 크기에 MG 혹은 PG급 디테일이나 기믹을 우겨넣은 미친제품.
초기에는 의욕을 기술이 못따라가는 경우도 많았으나(제타, 시드 기체등이 대표적) 최근 RG제품은 기술력이 급격히 향상되며 반다이의 새로운 캐시카우가 되어 수많은 건프라 빌더들의 주머니를 털어가는중.
그에따라 가격도 급상승하여 초기엔 양심적으로 그나마 MG보단 싼 편이었지만(3만전후) 최근엔 어지간한 MG 가격 쌈싸먹음.(이번에 10만짜리도 나옴)
리얼스틱데칼이라는 독특한 스티커를 넣어줌.
만약 지금 입문한다 치면 RG 마크2를 제외한 초기 RG부터 RG 시난주까지는 무조건 패스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음.
– RE/100 : 리본 원 헌드레드
RE/100 GP-04 시작 4호기 가베라
MG와 같은 1/100사이즈인데 내부구조등은 HG급으로 단순화 하여 쉬운 조립, 싼 가격이면서 MG급 외부 디테일만 보여주는 일종의 눈속임 덩치등급.
대신 그 어떤 라인업으로도 보기 힘든 마이너킷을 1/100사이즈로 퀄리티 있게 내어주는 것이 특징이라 일부 매니아들에게는 미친듯한 호응을 얻기도 함.
가격은 크기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동급 MG들보다 약간 싸다 보면 됨. 대충 뭐 5만전후.
일반적으로 스티커만 동봉됨.
– 메가사이즈
1/48 메가사이즈 퍼스트건담. 뼈대는 없어도 디테일은 있음.
일단 크면 박력이 넘치니 크고 쉽게 만들 수 있게 내놓는 등급. 의외로 현역. 모델은 몇 없으며 명절때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완구코너의 할인품목으로 자주 싸게 풀리는 효자종목. 1/48사이즈. 가격대는 제품에 따라 편차는 있는데 6만~9만9천 사이에 사시게 될거임.
– HY2M : 하이퍼 하이브리드.
사람만한 건담 하면 바로 이거. HY2M 1/12 퍼스트 건담.
사이즈는 1/60부터 /12라는 미친사이즈까지 있는 보통사람은 걍 몰라도 되는 미친 등급.(……..)
흔히 사람만한 건담 팔던데 뭔가요 하면 이거라고 답해주면 됨.
– HiRM : 하이 레졸루션 모델
과감한 리파인, 완성형 프레임에 외장조립이라는 특이한 킷. 1/100사이즈이며 프라모델러와 완제품 콜렉터 양쪽을 시야에 넣었던 야심적인 등급이지만 인기는 미묘.
가격은 동급의 MG값 x 2나 3 하면 되는 수준으로 비싸지만(13만 전후) 그래도 완제품보다는 쌈.
초기 제품인 발바토스, 윙제로는 멋진 외모와는 별개로 거지같은 만듦새와 허접한 내구력으로 말이 많았으나 레드프레임 정도 오면서 거의 완전체에 가까와지는중…이지만 신규 라인업의 전개가 지지부진.
– U.C. 하드 그리프
건프라로 뭔가 디오라마 해보려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눈독들이게 되는, 초기 우주세기 메카닉, 군인과 소품을 1/35사이즈로 내놓은 제품.
사실 건프라 라기보단 밀리터리 프라이며 색분할이나 부품분할등은 지극히 불친절.
인기는 그런대로 있어 아직도 재판이 되는 수준이지만 1/35사이즈다보니 다른 건프라와는 사실 잘 안어울림.
그런 사람들은 저 위에 있는 HGUCHG 1/144 하드그리프 건프라+디오라마 소품 세트를 하는게 나음.
물론 그렇다 해서 1/144 사이즈 디오라마 만드는게 더 쉽지만은 않은게 함정 ㅋㅋㅋ
– SD : 슈퍼 디폴메 등급. 흔히 말하는 2등신 유아, 어린이가 주 타겟인 등급
근데 SD에도 여러가지가 있어 그냥 말하면 뭐 말하는지 혼선이 일기 쉬움.
부품수도 적고 조립도 간단해 초심자향 같지만, 색분할이 불친절하고 스티커 때움이 많고 골다공증이 기본이라 제대로 만드려면 고수 오브 고수도 어려워하는 신기한 등급.
원조SD : 대략 90년대 초반까지 전개되었던 원조SD등급.
2010년대 들어 반짝부활…할거같았는데 걍 더 안나오고 끝.
반다이가 국내 진출 전에 종결되어 원조SD는 사실 국내에선 듣보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님.
신SD : 처음엔 SDBB라는 이름으로 BB탄이나 주먹이나 하여튼 뭐 하나 쏘는 기믹이 들어간 후기SD라인업….
이었는데 다친 사례가 나왔는지 이후 뭔가 쏘지 않게 변해버림. 흔히 말하는 무사시리즈, 무자시리즈, 기사시리즈, 삼국전시리즈, 레전드 시리즈, 최근엔 창걸전등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는 중.
SDEX : SD-EX스탠다드. SD보다는 팔다리가 길어지며 뽀대나도록 변한 등급…인데 실제 만들어보면 스티커땜빵과 골다공증에 몸서리침.
뭘 모르는 입문/초심자들이 한두번 사보는 그런 느낌이 강함.
SDCS 크로스 실루엣 퍼스트 건담.
SDCS : SD 크로스 실루엣. 위 SD등급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비자가 2등신과 4등신을 선택가능토록 프레임을 나눠파는 신규라인업.
분명 기존SD보다 뽀대도 나고 귀엽기도 하고 완성도도 높은 편이지만, 여전히 색분할에 아쉬움이 많으며 분명 싸야 하는 SD등급인데 프레임따로 소체따로 구매하고 보면 어지간한 HG보다 비싸게 주고 샀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됨.(……..)
어쨌거나 최근 반다이 SD의 주력.
헥헥헥헥…..;; 힘드네요;;
용어사전 프라용어편, 공구편, 테크닉편등은 시간날때 다음에 또;;;
스티브가 제일 좋아하는 스케일 이죠 사이즈 가 아담 하면서 도 디테일 이 베리 베리 귿 ^^ 아직은 많은 킷 들이 나오지 않아 아쉽지만 명품 중의 명품 킷이 랍니다
스티브는 MG급은 버카 시리즈만 만들어 보았답니다
아주 다양한 킷 들이 준비 되어 있는 그룹 이구요 아이들과 함께할수 있는 어여뿐 킷 입니다 만들기도 간단하고 종류도 다양하고 ^^
스티브가 아직은 접해보지 않은 킷 들 입니다 너무 덩지 가 커서 ^^하지만 굉장한 디테일 자랑하는 킷!
아주 다양한 킷 들이 준비 되어 있는 그룹 이구요 아이들과 함께할수 있는 어여뿐 킷 입니다 만들기도 간단하고 종류도 다양하고 ^^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등급표 공략 리뷰 건담 매니아 필독 ★
건담 슈프림 배틀 게임이 오픈하였습니다. 이 게임은 건담 게임으로 많은 유저들이 게임을 하기 위해 기다려온 매니아층 게임입니다. 저는 건담을 본적은 없지만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피규어의 시초라고 할 만큼 프라모델을 간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만큼 매니아층을 고루고루 갖추고 있는 만화입니다. 오늘 배틀 형식의 게임인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와 등급표 공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건담 슈프림 배틀은 대전, 경기, 퀘스트, 이벤트, 길드, 콜로니, 스토리 모드 등의 컨텐츠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체를 뽑고 키우고 성장시켜 대전에서 승리하거나 스토리 모드에서 재료들을 모으고 렙업을 하면서 성장시켜 나가는 게임입니다. 평범한 배틀이 아닌 광활한 우주에서 실시간으로 입체적인 전투를 즐길 수 있습니다. 빔 사벨과 빔라이플, 메가 입자포 등 건담의 파일럿으로서 필요한 모든것이 준비되어 있고 컨트롤 게임이라 컨트롤에 따라서 2성이 3성을 이기기도 합니다. 컨트롤이 정말 중요한 게임이라는 것이죠
리세마라시에 꼭 필요한 우편함입니다. 여기서 바로 10회권을 도전할 수 있습니다.
바로 튜토리얼 완료 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방법
1. 튜토리얼 완료 후 대전 2회 거치고 바로 우편함에서 플레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2. 10회권을 주는데 여기서 New보급에서 뽑기를 진행하셔야 합니다.일반보다 더욱 확률이 높기 때문이죠
3. 여기서 원하는 캐릭이 안나오면 다시 진행하시면 되는데 파일럿, 기체 둘다 10회권을 주기 때문에 바로 진행
4. 만약 안나오면 환경설정 > 앱 > 건담 > 데이터 삭제 후 다시 게스트 로그인 하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5. 10회권에서 진행하고 난 뒤에 스테이지 조금만 돌파해주면 또 9회 티켓과 보석으로 10회권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총 20회씩 가능하고 3성 레어등급을 2개정도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1개라도 좋지만 2개면 확실히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리세마라 시에 3성이 정말 안나옵니다. 10회에 2~3성 랜덤으로 한개를 주기는 하는데 거의 대부분 2성이라 굳이 1티어가 아니더라도 3성 아무거나 들고 가셔도 됩니다. 저처럼 5번 도전에 한번도 안나온건 실화인듯 실화아닌 실화같은너임..
건담 슈프림 배틀 등급표
건담 슈프림 등급표에서는 윙 건담제로, 건담 알바, 아스트로 골드 프레임, 사이코 자쿠가 1티어 입니다. 여기서 하나만 나와도 시작하시면 됩니다. 윙 건담제로는 정말 강력한 0티어 급 기체이기 때문에 꼭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파일럿 등급표는 없는데 일단 3성이 나오면 시작하시면 됩니다.
파일럿은 3성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인공급 캐릭터를 얻어주시는게 가장 좋고 주인공 캐릭을 얻어주시면 좋습니다. 아무로 레이, 샤아 아즈너블, 카미유 비단, 쥬드 아시타 등 3성 캐릭을 얻어주시면 됩니다. 1성 2성 3성 다 같은 캐릭이름이 있기에 그것도 알아가시면 됩니다.
이번에 기간 한정 보급품에서는 히이로 유이(윙 건담 제로), 맥길리스 파리드, 대릴 로렌츠 1순위로 보시면 됩니다.
건담 슈프림 배틀 인게임 입니다. 공략은 딱히 없습니다. 이건 진짜 컨트롤 게임이라서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적을 제압하거나 거리 두기, 기체의 전투 플레이 방식에 따라서 정말 많은 컨트롤이 소요될 수 있고, 쉬울 수도 있습니다. 컨트롤이 부족하다면 초반에는 원거리형 기체를 사용하여 거리를 두고 짤짤이 딜을 날려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컨트롤 하실때 초반이라 점프 하는 것이 이 게임의 가장 큰 공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의 점프를 안해서 근접이 다가올때 점프를 이용하여 빠르게 해당 범위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모험에서는 스토리모드, 팀미션, 개인미션이 있습니다. 이건 컨트롤을 좀 더 능숙하기 해주는데 효과적입니다. 무작정 대전을 통해서 점수를 깍기보다는 스토리 모드와 미션을 통해서 나의 기체에 효율적인 전투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종종 나오는 튜토리얼에서 기체의 콤보 방식과 각종 전투 스타일,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사실상 메인 건담이 최고의 기체고 최고의 파일럿은 아무로 레이입니다. 세계관 최강자이지요!
간단하게 알아본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등급표 공략이였습니다. 나름 재밌고 건담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추천해드리는 게임입니다. 그럼 저는 이만!!
삼라만상 그 모든 것
내년 초에 이사가 예정되어 있어 짐이 될까 애장품을 늘리지 못한다는 것이 매우 아쉬울 따름입니다. 예전에 정리 했던 포스팅이지만 이제는 조금 더 프라모델에 대해 알게되어 건담 등급이 사이즈별로 구분 된다는 것과 건담 프라모델 추천 모델과 함께 다시 한번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일단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건담 등급은 건담 사이즈로 구분되는데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HG, MG, RG, PG 외 별도완제품 등 다양하게 나누어집니다. 오늘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건담 등급을 구분하는 것과 동시에 해당 등급에서 꾸준히 인기를 누려온 건담 프라모델도 함께 공유 드리겠습니다.
1. HG (High Grade) 하이그레이드
건담 HG라고 불리는 이 등급은 스케일 1/144 비율로 SD 건담을 제외하고 처음시작 하는 분들이 많이 사는 건담 등급 사이즈입니다. 가격대도 저렴한 것은 8천원 부터 시작하고 비싼 모델이 2만원 중반이기 때문에 사는 것도 부담이 없고 만드는 것도 부담이 없습니다. HD 건담 프라모델 추천을 드린다면 당연히 발바토스 입니다. 구동도 좋고 군더더기 없이 깔끔해 인기가 많으며 최근에는 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모델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가격도 할인 받으면 11,000원 정도선 입니다.
2. RG(RealGrade) 리얼그레이드
처음 아무것도 모를당시에는 리얼그레이드가 아닌 레귤러그레이드인가 라고 착각할 시절도 있었지만 말 그대로 HG 건담이 풍부한 라이업을 토대로 콜렉션성을 포커스로 맞췄다면 RG 건담은 H와 동일한 1/144 비율에 풍부한 파츠 및 세세한 가동영역과 질감표현으로 조금 더 프라모델 퀄리티를 올린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HG같은경우 손가락이 벙어리 장갑이지만 RG 건담은 손가락 하나하나가 세세하게 움직이고 여러파츠가 있어 손모양도 바꿔가며 장착할 수 있습니다. 단연 RG 건담 중 인기있는 것은 역시 더블오 퀀터 를 비롯해 더블오 시리즈가 인기 있습니다. 가격은 3만원에서 5만원 대로 지갑에서 총소리 나는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합니다.
3. MG(MasterGrade) 마스터그레이드
제가 가장 심취해 있는 건담 등급으로 이 단계부터 건담 사이트를 뒤져가며 건담프라모델종류를 하나씩 확인하고 비교해가며 콜렉션을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자금압박으로 인해 건담 시리즈를 많이는 늘리지 못했지만 아직도 예비 후보생들은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케일은 1/100이며 위 에서 언급한 RG 건담의 상위 모델로 풍부한 파츠와 내부 메카닉 구성까지 겸한 건담 등급입니다. 저는 더블오 라이져를 강력하게 추천 드리지만 구하기 힘들다면 어스트레이 블루 혹은레드 를 구매하셔도 후회하시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하며 개인적으로는 어스트레이 블루를 추천합니다. 가격대는 최소 4만원 초반부터 최대 10만원 정도까지 생각하시면 적정선으로 구매 할 수 있습니다.
4. PG(PerfectGrade) 퍼펙트 그레이드
건담 사이즈 등급 중 마지막 설명 드릴 것은 PG 건담 퍼펙트 그레이드 입니다. 가격부터 설명 드리자면 최소 20만원 부터 건담프라모델종류 마다 25~40만원 선으로 입문 후 마스터 과정을 밟는 다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최신기술을 응집시켜 만든 건프라로 RG에서 한차원 업그레이드 되 더욱 크고 디테일 하기 때문에 많은 남성들의 시선을 강탈할 만큼 멋있는 기체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노력의 댓가도 만만치 않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잘 고민해보고 도전을 해야합니다. MG 건담 프라모델 추천 제품은 바로 위에서 언급했던 더블오 라이져입니다. 가격은 퍼펙트그레이드 답게 30만원 선이며 MG 건담에서 느낄 수 없던 웅장함까지 느껴지는 기체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건담 등급 사이즈 별로 재정리 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확실히 많이 해보면 늘고 많이 하다보면 관심이 생기기에 예전에 정리했던 포스팅에 비하면 많은 것을 배웠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메인사진에 올린 더블오와 스트라이크 건담을 뒤로 하고 이사 후에 1개 더 장만해서 다시한번 열의를 불태우고 싶다는 생각이 가득해졌습니다. 상위 이미지는 반다이 몰에서 발췌하였고 금년도 크리스마스 선물로 아이와 아버지가 함께 만든다면 HG로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나 등급표보다 피지컬이다! 쿠폰 없음
반응형
안녕하세요. 겜돌이 러스L 입니다.
건담 애니메이션 속 기체와 파일럿을 획득하여 전장을 누빌 수 있는 모바일 게임!
건담 슈프림 배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건담 슈프림 배틀은 기체를 직접 조작하는 실시간 액션 배틀 모바일 게임으로 피지컬이 중요한 게임이다. 기체의 성능이 좋더라도 그걸 조작하는 파일럿이 미숙하다면, 애니메이션 속 명장면과는 다르게 기본 기체에 탈탈 털리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하는 기체를 획득하였다면 능숙하게 다를 수 있도록 많은 경험을 쌓아야 한다.
기본적인 조작과 기체, 파일럿 등에 대한 튜토리얼을 완료하면 로비 화면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다소 복잡한? UI로 인해 당혹스러울 수 있지만, 몇 번 보다 보면 필요한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로비 화면의 메뉴들로 대부분의 콘텐츠를 한 번에 이용할 수 있어, 적응하면 오히려 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모험 모드는 [스토리 모드 / 팀 미션 / 개인 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정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콘텐츠가 하나씩 개방된다. 다른 유저와 대결하는 대전모드가 부담이 된다면, 모험과 미션 등을 진행하는 것도 건담 슈프림 배틀 하나의 방법이다.
다만, 모험 모드에서도 현대인에게 익숙한? 자동 사냥 등의 기능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스토리가 궁금하다면 파일럿이 되어 기체를 열심히 조작하도록 하자.
배틀은 [PVP 대전 / 캐주얼 모드]를 구성되어 있다. PVP 대전은 기본적으로 1VS1, 2VS2 전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 기능이 제공되어 [일반 모드 / 경기 모드] 등을 선택하여 대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캐주얼 모드는 4명이서 1VS1VS1VS1 전투를 진행하는 모드이다. 상대방을 처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캐주얼 모드에서는 생존이 더 중요하다.
모험이나 전투에서 기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훈련장에서 기체 조작에 대한 연습을 추천한다. 훈련장에서는 원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훈련 목표 단계에 따라 보상도 획득할 수 있다.
열심히 훈련했을 뿐인데 보상까지? 테크닉까지 완벽히 숙지한다면 랭킹 순위에 내 캐릭터가 랭크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전투에 앞서 기체와 파일럿을 선택하여 팀을 편성할 수 있다. 한 팀에는 4개의 기체와 4명의 파일럿을 편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이 기체에 맞는 전속(전용) 파일럿을 탑승시키는 것이다. 기체에 전용 파일럿이 탑승하면 전투 시 각성 게이지를 모아 각성 스킬(EX)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각성 스킬은 각성 게이지를 모두 채워야만 사용이 가능한 스킬로 적에게 강력한 대미지를 부여하는 필살기이다.
보급에서는 기체와 파일럿, 파츠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보급 카드’ 또는 ‘다이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과금/소과금의 경우에도 게임 플레이를 통해 재화를 획득할 수 있다.
기체 보급의 경우 [일반 보급품 / New 보급 / 에이스 기체]로 나뉘어 있으며, 모두 동일한 수치의 다이아를 필요로 한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를 진행한다면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급을 진행하면 된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추천 기체로는 1티어 등급 기체 ‘윙 건담 제로’와 ‘G-SELF’이다. 프리덤 건담은 건담 SEED 애니메이션에서 맹활약을 펼치지만 건담 슈프림 배틀에서는 1티어에는 미치지 못하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기본으로 지급되는 ‘건담 Ez8’을 열심히 육성한다면 1티어의 반열에 오를 수 있다. 이외에도 ‘V대쉬’, ‘헤비암즈 개량형’, ‘듀나메스’ 등이 1티어로 평가받고 있으니 굳이 태생 3등급 기체를 고수하지 않아도 된다. 무엇보다 피지컬이 매우 중요하다!
기체와 마찬가지로 파일럿도 보급이 가능하다. 파일럿은 [일반 보급품 / 기간한정 보급품 / 에이스 파일럿]으로 보급이 가능하며, 보급(소환) 진행 시 기체보다는 적은 다이아를 필요로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기체에 맞는 전속(전용) 파일럿을 탑승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진행 시 획득하고자 하는 기체를 먼저 획득하고 이후에는 전속(전용) 파일럿을 획득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체는 전속(전용) 파일럿이 없더라도 기체의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기체 없는 파일럿은 크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건담 슈프림 배틀 리세마라 진행 시, 등급표나 원하는 취향에 따라 기간한정 또는 에이스에서 원하는 기체와 파일럿을 획득하면 된다.
해당 게임은 중국에서 먼저 오픈한 게임으로 중국 서버 기준으로 한 건담 슈프림 배틀 등급표가 있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기체의 성능보다도 피지컬이 중요하다. 나에게 잘 맞는 기체를 획득하고 꾸준히 연습하는 것만이 전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이다.
태생 3 별 기체가 나오지 않아도 너무 슬퍼하지 않아도 된다. 기체 획득 시 도감을 채울 수 있으며, 태생 1, 2 별 기체에서도 1티어 기체들이 있기 때문에 기분 좋은 마음으로 보급을 진행하도록 하자. 물론 기체의 성능이 아닌 팬 차원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기체가 있는 경우에도 조금 다른 이야기이다.
7일 동안 게임에 열심히 접속만 해도 보상으로 에일 스트라이크 검담(GAT-X105)과 전속(전용) 파일럿 ‘키라 야마토’를 획득할 수 있다. 누적 로그인 7일만으로는 아쉬워서 일까? 15일까지 누적 로그인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니 열심히 접속하고 모든 보상을 받도록 하자.
출석 보상 이외에도 ‘한정 출격’ 이벤트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7일 동안 미션 완료 시 다양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미션을 1개 완료할 때마다 기체 조각을 1개 획득할 수 있는 보너스 미션도 준비되어 있다. 여기저기 다양한 참여형 보상들이 있기 때문에 게임하는 맛이 나는 듯하다.
참고로 건담 슈프림 배틀에는 현재 확인되는 쿠폰이 없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쿠폰을 찾아 이리저리 헤매지 말고 열심히 기체와 파일럿을 육성하도록 하자. (여기저기 살펴보아도 쿠폰 입력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 눈이 나빠서 안 보이는 걸까?…)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건담 등급표
다음은 Bing에서 건담 등급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 박서방
- 박서방본점
- 제주박서방
- 박서방제주
- 대전박서방
- 박서방대전
- 대구박서방
- 박서방대구
- 대전건담
- 제주건담
- 대구건담
- 건프라
- 특별한선물
- 프라모델
- 건담익싯
- 프라모델개조
- 건담개조
- 프라모델도색
- 건담도색
- 대전건프라
- 대전건담샵
- 건담추천
- 건프라 등급
- 건프라 등급 차이
- 건담 등급 설명
- 등급별 건담
- 각종 등급별 건담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YouTube에서 건담 등급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다이 건담 프라모델 등급 차이를 알려드려요! │건프라 스케일 분석 분류 안내 | 건담 등급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